1. 개요
본 보고서는 실외 환경(강한 태양광, 고온, 습도, 빗물, 먼지, 정전기 등)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터치스크린 오동작의 원인과
이에 대한 오디하이텍㈜의 통합 해결안을 정리한 문서입니다.
당사는 터치 컨트롤러를 국내에서 직접 설계·개발·생산하고,
실외 사용 조건에 최적화된 소프트웨어 알고리즘과 하드웨어 내구성 기술을 결합하여,
실사용 환경에서의 미동작·오동작·Silk 박리·ESD 손상을 근본적으로 줄였습니다.
실외 환경에서 발생하는 터치 미동작·오동작의 원인과 오디하이텍의 국내 개발 컨트롤러 기반 해결안을 소개합니다.
01. 국내 환경(기온, 습도, 자외선 등)에 최적화된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지원 가능.
중국산 실내용 터치 제품이 고온·습도에서 오작동이 잦은 문제 개선
02. 글라스면 실크 인쇄(레이어)가 태양열, 열팽창, 접촉 등을 통해 박리되는 현상을 기술적으로 방지함.
03. 빗물, 습기 유입 시 터치의 오작동을 막는 기술. 소프트웨어 필터링/보정 지원.
04. PCB에 방수액(코팅제) 도포하여 습기가 회로나 부품에 미치는 영향 최소화.
05. 접촉(Contact) 8 kV, 공기(Air) 15 kV 시험 통과. 전압 스파크나 정전기로부터 터치 컨트롤러 손상을 줄임.
06. 고온, 저온 조건에서도 터치 동작 안정성 확보. 국내 실외 환경(일사, 습도, 기온 변화 등)에 내구성이 강함.
2. 불량 원인 분석
2.1 높은 태양열
✓ 직사광 노출 시 터치 표면 유리 온도가 80~90℃ 이상으로 상승
✓ 터치 동작 보장 범위(일반 -20~70℃)를 초과하여 미동작/오동작 발생
2.2 실크 인쇄 박리
✓ 중국산 제품 중 Silk 인쇄(터치 버튼 표시 등)가 태양열, 열팽창이나 접착력 약화로 인해 박리되어 미관 손상 및 터치 감도 저하 유발.
2.3 습기 및 먼지 유입
✓ 비 또는 안개, 공기 중 습기의 침투, 먼지 등이 터치 유리 및 내부 회로에 영향을 주어 정상 작동을 방해함.
실내용 제품은 이러한 환경에 대한 내성이 낮음.
2.4 ESD(정전기 방전)/전압 변동
✓ 외부 정전기(접촉, 공기 중 방전) 또는 전원 노이즈 등이 발생하면 터치 컨트롤러의 감지 회로가 오작동하거나 고장 발생.
2.5 온도 한계 초과
✓ 제품이 설계된 동작 온도 범위를 넘어설 경우 (예 : 글라스 표면 온도, 주변 온도) 터치 반응 저하 또는 완전 미작동.
2.6 소프트웨어 / 펌웨어 미비
✓ 외부 환경 변화(습도, 온도, 빗물) 시 소프트웨어 보정/필터링 기능이 부족하면 오작동 빈도 증가.
✓ 중국산 실내용 제품은 이런 보정 기능이 적음.
3. 실험/검증 기준
3.1 실외 설치 햇빛에 의한 Touch 표면온도 측정
항목 | 실험 내용 및 측정 기준 |
높은 태양열 | 오전 9시 전/후 : 이미 표면 온도 80℃ 이상, 터치 미동작 발생 |
11~14시(일사 최고) : 표면 80~90℃ 이상 상승하는 현상, 미동작 빈발 | |
동작 가능 온도 범위테스트 | 터치 장치 동작 온도 (Oper Temp)를 -20℃부터 +70℃까지 설정. 글라스 표면 온도가 약 75℃ 이상이 되면 동작 불가능함을 확인. |
실외 환경 조건 | 햇빛, 강한 자외선, 습도, 먼지, 빗물 노출 등을 실제 야외 환경 또는 유사 챔버 시험 환경에서 재현. |
ESD 시험 | 접촉(Contact) 전압 8 kV, 공기(Air) 전압 15 kV 조건 하에서 터치 컨트롤러의 손상 유무, 오작동 여부 검사. |
방수·방진 시험 | PCB 및 접촉부의 방수 코팅 효과, 빗물 유입 조건, 습도 챔버 시험 등을 통한 터치오작동(오탭, 팬텀터치 등) 발생 여부 측정. |
내구성 반복 시험 | 반복적인 온도 변화, 열충격, 습도 변화 등을 통하여 성능 변화(감도, 응답속도, 오작동 빈도)를 시간에 따라 관찰. |
4. 오디하이텍 솔루션
4.1 OD Touch Controller (Made in Korea)
구성 요소 | 적용 기술 및 특징 |
ESD 강화 | 접촉 방전(Contact) 8KV, 공기 방전(Air) 15KV 테스트를 통과하여 전압 변화와 정전기 방전에 강한 내구성을 확보 |
방수·방진 처리 | PCB에 특수 방수액을 도포하여 습도와 먼지로 인한 오작동을 근본적으로 차단 |
고온·저온 특성 강화 | 국내 환경에 맞춰 -20℃부터 70℃까지 넓은 온도 범위에서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 |
커넥터 체결 | 실외 진동·열팽창·수축에도 접촉 안정성 유지 |
소프트웨어 지원 | 자체 개발한 컨트롤러이므로 국내 환경에 맞는 소프트웨어 개발 및 기술 지원이 용이 |
4.2 OD Touch Sensor (OEM)
구성 요소 | 적용 기술 및 특징 |
오디하이텍 기술 적용으로, 중국 OEM 생산 | |
내구성 강화 | 방수 및 방진 근응을 강화하여 비, 습기, 먼지에 의한 쇼트 및 오작동을 방지 |
온도 특성 강화 | 고온과 저온 환경에서도 변형이나 손상없이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내구성 보장 |
Silk 인쇄 박리 방지 | 태양열에 의한 실크 인쇄 박리 현상을 방지하는 기술을 적용하여 제품의 수명과 외관을 유지 |
4.3 OD 전면 Silk인쇄 박리 방지
박리현상이란?
터치글라스에 강한 태양열(적외선)을 지속적으로 가했을 경우에 높은 온도에 의한 Silk 인쇄부분이 박리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대부분 Panel PC 업체들이 실외(Outdoor) 경험이 없어 중국산 저가 실내용 터치 제품을
적용하다보니 실크인쇄 박리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5. 결론